구글 공유드라이브 만드는 방법
구글 공유드라이브는 팀원들과 파일을 효율적으로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개인 드라이브와 달리 공유드라이브는 조직 내 여러 사용자가 공동으로 관리할 수 있어 업무용으로 많이 활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글 공유드라이브를 만드는 방법과 설정하는 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구글 공유드라이브 만들기
구글 공유드라이브는 Google Workspace 계정이 있어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개인 계정에서는 공유드라이브를 만들 수 없으며, 조직 계정에서만 가능합니다.
1. 공유드라이브 생성
Google Drive 접속: 에 로그인합니다.
공유드라이브 메뉴 선택: 왼쪽 메뉴에서 "공유 드라이브"를 클릭합니다.
새 공유드라이브 만들기: 화면 상단에서 "새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름 입력: 공유드라이브의 이름을 입력하고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2. 멤버 추가 및 권한 설정
공유드라이브를 만든 후에는 팀원들을 추가하고 권한을 설정해야 합니다.
멤버 추가: 공유드라이브에서 "멤버 관리"를 클릭합니다.
이메일 입력: 추가할 팀원의 이메일을 입력합니다.
권한 설정: 멤버의 권한을 선택합니다.
관리자: 모든 파일을 수정, 삭제, 이동 가능
콘텐츠 관리자: 파일 수정 가능, 삭제 가능
참여자: 파일 추가 가능, 수정 가능
댓글 작성자: 파일에 댓글만 작성 가능
뷰어: 파일 보기만 가능
초대 완료: "보내기" 버튼을 클릭하면 초대가 완료됩니다.
구글 공유드라이브 활용법
구글 공유드라이브는 팀 협업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파일 및 폴더 공유: 모든 멤버가 동일한 파일을 접근할 수 있습니다.
버전 관리: 파일 변경 이력을 확인하고 이전 버전으로 복구할 수 있습니다.
액세스 권한 조정: 필요에 따라 멤버의 권한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팀 프로젝트 관리: 여러 사람이 동시에 문서를 편집하고 협업할 수 있습니다.
구글 공유드라이브 설정 시 주의사항
조직 계정 필요: 개인 계정에서는 공유드라이브를 만들 수 없습니다.
파일 삭제 주의: 공유드라이브에서 삭제된 파일은 30일 후 영구 삭제됩니다.
외부 사용자 초대 가능 여부 확인: 조직 설정에 따라 외부 사용자를 초대할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구글 공유드라이브를 활용하면 팀원들과 원활하게 협업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