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용소방대, 누가 만들었을까?

의용소방대는 소방공무원만으로는 대응하기 어려운 재난·재해 상황에서 일반 주민들이 소방업무를 보조하기 위해 조직된 단체입니다. 화재 예방 활동과 구조·구급 지원을 수행하며, 지역사회 안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의용소방대의 역사

최초의 공식 조직화 (1915년)

우리나라에서 의용소방대가 공식적으로 조직된 것은 1915년 8월입니다. 당시 도지사가 소방업무와 수방업무를 위해 필요할 경우 소방조를 구성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소방조는 조두(組頭) 1인과 소두·소방수로 구성되었으며, 도지사가 임명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습니다.

수방단과 경방단의 등장 (1935~1939년)

1935년에는 수방단(水防團)이 조직되면서 소방조의 업무에서 수방업무가 제외되었습니다. 이후 1939년에는 경방단(警防團)이 설치되면서 소방조와 소방단이 폐지되었습니다.

현대적 의용소방대의 시작 (1958년)

1958년 3월에 제정된 소방법에 따라 서울특별시·시·읍에 의용소방대가 구성되었습니다. 이후 1966년에는 수방업무가 의용소방대의 업무에서 제외되었으며, 1973년에는 면 지역에서도 내무부장관의 승인 없이 의용소방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법이 개정되었습니다.


의용소방대의 역사(의용소방대 교재 발췌) : 네이버 블로그

의용소방대연합회 - 홈>의용소방대 소개>발자취>의용소방대의 역사

지역사회 안전 파수꾼 의용소방대, 의용소방대의 날을 아시나요? : 네이버 블로그


의용소방대의 역할과 운영

주요 역할

  • 화재 예방 활동: 지역사회에서 화재 예방 캠페인 및 교육 진행

  • 재난 대응 지원: 소방공무원을 보조하여 구조·구급 활동 수행

  • 민방위 업무 수행: 「민방위기본법」에 따른 민방위 활동 지원

  • 교육 및 훈련: 정기적인 소방 훈련을 통해 대응 능력 강화

운영 방식

의용소방대는 소방서장의 명령을 받아 활동하며, 대장 1인과 부대장·반장·일반대원으로 구성됩니다. 대원들은 비상근으로 활동하지만, 필요할 경우 상근 대원을 둘 수도 있습니다.

의용소방대는 1915년 도지사의 결정으로 공식 조직화되었으며, 이후 법 개정을 통해 현대적인 형태로 발전해왔습니다. 현재는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되며, 지역사회 안전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