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보험 할인 할증 요율 등급

자동차보험료는 단순히 차량 종류나 운전자의 나이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실제 보험료는 할인·할증 요율 등급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이는 운전자의 사고 이력과 운전 습관을 반영한 결과다. 2025년 현재, 보험사들은 1Z부터 29Z(P)까지의 등급 체계를 통해 보험료를 차등 적용하고 있다.


할인·할증 등급이란?

자동차보험 할인·할증 등급은 운전자의 사고 유무와 빈도, 법규 위반 여부 등을 기준으로 매년 조정된다.

  • 최초 가입 시 기본 등급: 11Z 또는 11N

  • 무사고 시: 매년 1등급씩 상승 (최대 29Z)

  • 사고 발생 시: 사고 건수 및 피해 규모에 따라 1~3등급 하락

등급이 높을수록 보험료는 낮아지고, 낮을수록 보험료는 높아진다. 예를 들어 20Z는 평균보다 우수한 등급이며, 1Z는 사고 다발자에게 적용되는 최저 등급이다.


자동차보험 할증 기준 총정리(ft.사고나면 무조건 자동차보험료 할증?) | 뱅크샐러드

자동차보험 할인할증 등급별 적용율 안내 | KB손해보험 [B]

자동차보험 할인할증적용률 공시실 | DB손해보험


등급별 보험료 적용 요율 예시 (개인용 기준)

등급적용 요율(%)등급적용 요율(%)
1Z약 200%15Z약 60%
5Z약 130%20Z약 50%
10Z약 85%25Z약 40%
11Z약 80%29Z약 30~33%

※ 보험사별로 요율은 다소 차이가 있으며, 같은 등급이라도 보험사마다 적용률이 다를 수 있다.


등급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

  • 사고 건수: 최근 3년간 사고 횟수 기준

  • 사고 유형: 대인·대물·자차 사고 여부

  • 법규 위반: 음주운전, 신호위반 등은 별도 할증

  • 운전 경력: 가입 경력 3년 이상 시 우대

  • 특약 가입 여부: 블랙박스, 마일리지, 자녀 할인 등


등급 조회 및 관리 방법

  • 보험개발원 할인할증 조회 시스템: 에서 본인 인증 후 확인 가능

  • 갱신 3개월 전부터 등급 예측 가능

  • 사고 처리 시: 수리비가 물적사고 할증 기준(보통 200만 원)을 넘으면 등급 하락 가능성 있음


자동차보험 할인·할증 등급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운전자의 신뢰도와 보험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지표다. 무사고 운전을 유지하고, 특약을 적극 활용하며, 보험사별 요율을 비교해 가입하는 것이 보험료 절감의 핵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