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예수금과 순자산의 뜻
주식 계좌를 보다 보면 ‘예수금’과 ‘순자산’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합니다. 처음 주식을 시작한 투자자라면 이 두 개념이 헷갈릴 수 있지만, 자산을 정확히 파악하고 투자 전략을 세우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해해야 할 기본 용어입니다. 이 글에서는 예수금과 순자산의 뜻과 차이점, 그리고 실전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예수금이란?
예수금은 말 그대로 주식 계좌에 예치된 현금을 의미합니다. 아직 주식을 매수하지 않은 상태의 자금으로, 새로운 종목을 사거나 출금할 수 있는 가용 자금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주식 계좌에 입금했다면 이 금액은 예수금으로 표시됩니다. 이후 30만 원어치 주식을 매수하면, 예수금은 70만 원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다만 주식 거래는 D+2 결제 시스템을 따르기 때문에, 매도한 금액이 예수금으로 반영되기까지는 2영업일이 소요됩니다.
주린이 주식용어(예수금, 순자산액, 평가금액) : 네이버 블로그
예수금, 예탁금 이용료, 대용금, 대용증권 뜻 [주식 필수 용어 정리 ①] - 한국투자증권 블로그
순자산이란?
순자산(Net Asset Value)은 현재 계좌에 있는 모든 자산의 총합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다음 항목이 포함됩니다:
보유 주식의 현재 평가금액
예수금(현금)
배당금, 이자 등 기타 수익
외화 자산 (해외 주식 포함)
즉, 순자산은 단순한 현금이 아니라 계좌 전체의 실질적인 자산 가치를 나타냅니다. 주식 가격이 오르면 순자산도 함께 증가하고, 반대로 하락하면 줄어들게 됩니다.
예수금과 순자산의 차이
항목 | 예수금 | 순자산 |
---|---|---|
의미 | 계좌 내 현금 | 계좌 내 전체 자산 가치 |
포함 항목 | 입금액, 매도 대금 (D+2 반영) | 예수금 + 주식 평가금액 + 기타 수익 |
변동 요인 | 입출금, 매매 체결 | 주가 변동, 배당, 환율 등 |
활용 목적 | 매수 가능 금액 확인 | 전체 자산 현황 파악 |
예수금은 당장 사용할 수 있는 ‘현금’이고, 순자산은 ‘내가 지금 가진 모든 자산의 총합’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예수금과 순자산은 주식 계좌를 관리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개념입니다. 예수금은 매수 여력을, 순자산은 전체 투자 성과를 보여주는 지표이므로, 두 항목을 함께 확인하면서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주가 변동이 심한 시기에는 순자산의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보는 습관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