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 사고 응급처치 및 예방법

화상은 일상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응급사고 중 하나입니다. 뜨거운 물, 조리기구, 전기장판, 캠핑용 화기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나 고령자에게는 더 큰 위험이 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응급처치와 예방 수칙을 알고 있다면, 흉터나 감염을 줄이고 회복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1. 화상 응급처치 – 단계별 대처법

1도 화상 (피부가 붉고 따가움)

  • 흐르는 미지근한 물에 10~15분 이상 화상 부위를 식힌다.

  • 깨끗한 수건이나 거즈로 부위를 감싸 열기를 제거한다.

  • 통증이 심할 경우 진통제 복용 가능

  • 보습제를 발라 피부 건조를 방지하고 재생을 돕는다

2도 화상 (물집, 부종, 심한 통증)

  • 찬물에 15~20분 이상 식혀 화기를 제거한다.

  • 물집은 절대 터뜨리지 않는다. 감염 위험이 크다.

  • 멸균 거즈나 깨끗한 천으로 부위를 덮는다.

  • 병원에서 소독 및 연고 처방을 받는 것이 안전하다

3도 화상 (피부 괴사, 통증 없음)

  • 옷이 피부에 붙었다면 억지로 벗기지 않는다.

  • 화상 부위를 식히되, 저체온증에 주의하며 체온을 유지한다.

  • 멸균 거즈로 덮고 즉시 119에 신고하거나 응급실로 이동한다

  • 반드시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절대 하면 안 되는 행동

  • 얼음을 직접 대는 행위 (혈관 수축으로 조직 손상 위험)

  • 치약, 된장, 소주 등 민간요법 사용

  • 물집을 터뜨리는 행위

  • 연고를 바르고 병원 방문을 미루는 것





2. 화상 사고 예방법

주방과 생활 속 안전

  • 조리기구 손잡이는 안쪽으로 돌려놓고, 어린이 접근을 제한한다

  • 전기포트, 인덕션, 다리미 등은 사용 후 반드시 전원 차단

  • 전기장판은 취침 중 사용을 피하고, 자동 온도조절 기능을 활용한다

야외 활동 시 주의사항

  • 캠핑 시 불씨는 완전히 꺼졌는지 확인

  • 바비큐 그릴, 토치 등은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

  • 화기 주변에는 소화기나 물을 준비해두는 것이 좋다

어린이 보호

  • 뜨거운 음식이나 음료는 테이블 가장자리에 두지 않는다

  • 목욕물 온도는 37~38도 사이로 유지

  • 보호자는 응급처치법을 사전에 숙지하고, 아이에게도 교육한다


화상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사고지만, 올바른 응급처치와 예방 수칙만 잘 지켜도 후유증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초기 15분의 대응이 회복 속도와 흉터 여부를 결정짓는 만큼,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