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 계좌 만기 후 연금 계좌로 전환하는 방법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절세와 자산 관리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대표적인 금융상품입니다. 특히 만기 이후에는 연금저축이나 IRP(개인형퇴직연금) 계좌로 전환해 추가적인 절세 혜택을 누릴 수 있어, 노후 준비를 고려하는 투자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전략입니다. 이 글에서는 ISA 계좌 만기 후 연금 계좌로 전환하는 방법과 주의사항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ISA 계좌 만기 후 전환 가능한 연금 계좌

  • 연금저축계좌

  • IRP(개인형퇴직연금)

두 계좌 모두 세제 혜택이 있는 장기 투자용 연금 계좌로, ISA 만기 자금을 이전할 수 있습니다.


[vol.28] ISA 총정리 5편 - ISA 연금전환의 A부터 Z까지 (ISA 연금전환의 모든 것)

ISA 만기 자금, 연금 계좌로 옮기면 4년간 최대 496만원 챙긴다

ISA 만기 후 연금계좌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전환 조건 및 한도

  • 이전 가능 금액: ISA 수익금(납입원금 제외) 중 최대 1,000만 원까지 이전 가능

  • 이전 기한: ISA 만기일로부터 60일 이내

  • 세액공제 혜택: 이전 금액의 10%에 대해 연간 최대 30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능 (단, 연금계좌의 세액공제 한도와는 별도 적용)


전환 절차

  1. ISA 계좌 보유 금융사 방문 또는 앱 접속

    • ‘연금계좌 전환 신청서’ 작성

  2. 연금저축 또는 IRP 계좌 정보 입력

    • 기존 보유 계좌 또는 신규 개설 가능

  3. 금융사 간 연동 처리

    • 동일 금융사 내 전환은 간편하지만, 타 금융사 간 전환 시 수작업 또는 전화 확인 필요

  4. 세무당국 보고 및 이전 완료

    • 보통 1~2주 소요


전환 시 주의사항

  • 중도 인출 제한: 연금계좌로 이전한 자금은 만 55세 이후 연금 형태로만 수령 가능

  • 투자 상품 제한: ISA보다 투자 대상이 제한적 (예: 국내외 펀드, ETF 중심)

  • 세액공제 중복 불가: 이전 금액은 연금계좌의 연간 세액공제 한도(400~700만 원)에 포함되지 않음


ISA 만기 후 연금 전환이 유리한 경우

  • ISA 수익이 1,000만 원 이하인 경우

  • 장기 자산 운용을 고려 중인 40~50대 직장인

  • 연금 기반 자산을 확대하고 싶은 투자자

  • 퇴직 후 저율 분리과세(3.3~5.5%) 혜택을 누리고 싶은 경우


ISA 계좌 만기 후 연금 계좌로의 전환은 단순한 자금 이전이 아니라, 절세와 노후 준비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전략적 선택입니다. 단기 유동성이 필요한 자금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장기 재무 계획이 확실한 분들에게는 매우 유리한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만기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면, 지금부터 연금 계좌 전환을 고려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