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암 수술 후 PSA 수치

전립선암 수술 후에는 혈액 내 전립선특이항원(PSA, Prostate-Specific Antigen)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PSA는 전립선 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수술로 전립선을 완전히 제거했다면 PSA 수치도 거의 0에 가까워져야 합니다. 이 수치는 암의 재발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로 활용됩니다.


1. 전립선암 수술 후 PSA 정상 수치

  • 정상 범위: 0.1 ng/mL 이하

  • 수술 직후에는 PSA 수치가 급격히 떨어지며, 6주 이내에 0.1 이하로 유지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 수치가 0.2 ng/mL 이상으로 상승하면 생화학적 재발을 의심하게 됩니다.





2. PSA 수치 상승 시 의미

  • 0.2 ng/mL 이상 2회 연속 상승: 재발 가능성 높음

  • 0.4~0.5 ng/mL 이상: 방사선 치료 또는 호르몬 치료 고려

  • 수술 후 5년 이내 PSA 상승: 재발률이 높아 정밀 추적 필요

※ PSA 수치가 상승해도 영상 검사(C.T, MRI 등)에서 이상이 없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미세 전이 가능성을 고려해 방사선 치료를 선제적으로 시행하기도 합니다.


3. PSA 수치 관리 및 추적 검사 주기

수술 후 경과 기간검사 주기
1년 이내3~6개월마다 검사
1~5년6개월마다 검사
5년 이후연 1회 검사
  • 식습관 개선, 금주, 규칙적인 운동은 PSA 수치 안정에 도움

  • 스트레스 관리와 수면 개선도 면역력 유지에 중요


4. PSA 수치가 낮아도 안심은 금물

  • 일부 환자는 수치가 낮더라도 전립선 주변 조직에 암세포가 남아 있을 수 있음

  • 특히 부분 절제 수술을 받은 경우, 전립선 일부가 남아 있어 PSA가 완전히 0으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수치뿐 아니라 수치의 변화 추이를 함께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립선암은 수술로 완치가 가능한 암 중 하나지만, PSA 수치의 정기적인 모니터링 없이는 재발을 놓칠 수 있습니다. 수술 후에도 꾸준한 관리와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하며, PSA 수치가 조금이라도 상승한다면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조기 대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