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정특례 심장질환 상병코드
심장질환은 생명과 직결되는 중증 질환으로, 장기적인 치료와 고비용 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고려해 건강보험에서는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심장질환자에게 산정특례 제도(V192)를 적용해 본인부담금을 대폭 줄여주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산정특례 대상이 되는 심장질환 상병코드를 중심으로, 적용 기준과 유의사항을 정리합니다.
산정특례란?
산정특례는 중증질환자에게 의료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본인부담금을 5% 수준으로 경감해주는 제도입니다. 심장질환의 경우, 특정 상병코드와 함께 수술 또는 약제 투여가 병행되어야 적용됩니다.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 대상 질병 목록 : 네이버 블로그
산정특례 유형별 V코드정리 (본인부담 5% /.. : 네이버블로그
< 약국비용 계산기 < 조회·신청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장질환 산정특례 상병코드 목록
다음은 산정특례 대상이 되는 심장질환 관련 상병코드입니다:
D15.1: 심장의 양성 신생물
I01: 심장 침범이 있는 류마티스열
I05~I09: 만성 류마티스 심장질환
I20~I25: 허혈성 심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 등)
I26, I28: 폐성 심장병 및 폐순환 질환
I30~I51: 기타 형태의 심장병 (심근염, 심부전 등)
I70.0: 대동맥 죽상경화증
I71: 대동맥류 및 박리
I79.0, I79.1: 기타 질환에서의 동맥 및 세동맥 장애
M31.4: 대동맥궁 증후군 (다까야수병)
Q20~Q25: 순환계통의 선천기형
Q26.0~Q26.9: 대정맥혈관의 선천기형
S25~S26: 흉부 혈관 및 심장 손상
이 외에도 심장이식술, 복잡 선천성 심기형 등은 최대 60일간 특례 적용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경우는 최대 30일 이내에 수술 또는 약제 투여가 있어야 합니다.
적용 조건 요약
상기 상병코드 중 하나 이상 해당
해당 질환에 대해 특정 수술 또는 약제 투여 이력이 있어야 함
진단일 기준 30일 이내에 수술 또는 약제 처방이 있어야 특례 등록 가능
복잡 선천성 심기형 또는 심장이식술은 60일 이내까지 인정
유의사항
단순 진단만으로는 산정특례가 적용되지 않으며, 수술 코드 또는 약제 코드가 함께 있어야 합니다.
병원에서 진단받은 상병코드가 위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 시 의료기관을 통해 특례 등록 신청을 해야 합니다.
특례 등록 후에는 외래 및 입원 진료 시 본인부담금이 5%로 경감됩니다.
심장질환은 조기 진단과 꾸준한 치료가 중요한 만큼, 산정특례 제도를 적극 활용하면 경제적 부담을 줄이면서 안정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본인의 상병코드가 해당되는지 확인하고, 의료진과 상담을 통해 특례 등록 여부를 점검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협심증, 심근경색, 선천성 심장기형 등은 대표적인 적용 대상이므로 놓치지 말고 챙기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