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정특례 심장질환 상병코드

심장질환은 생명과 직결되는 중증 질환으로, 장기적인 치료와 고비용 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고려해 건강보험에서는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심장질환자에게 산정특례 제도(V192)를 적용해 본인부담금을 대폭 줄여주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산정특례 대상이 되는 심장질환 상병코드를 중심으로, 적용 기준과 유의사항을 정리합니다.


산정특례란?

산정특례는 중증질환자에게 의료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본인부담금을 5% 수준으로 경감해주는 제도입니다. 심장질환의 경우, 특정 상병코드와 함께 수술 또는 약제 투여가 병행되어야 적용됩니다.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 대상 질병 목록 : 네이버 블로그

산정특례 유형별 V코드정리 (본인부담 5% /.. : 네이버블로그

< 약국비용 계산기 < 조회·신청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장질환 산정특례 상병코드 목록

다음은 산정특례 대상이 되는 심장질환 관련 상병코드입니다:

  • D15.1: 심장의 양성 신생물

  • I01: 심장 침범이 있는 류마티스열

  • I05~I09: 만성 류마티스 심장질환

  • I20~I25: 허혈성 심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 등)

  • I26, I28: 폐성 심장병 및 폐순환 질환

  • I30~I51: 기타 형태의 심장병 (심근염, 심부전 등)

  • I70.0: 대동맥 죽상경화증

  • I71: 대동맥류 및 박리

  • I79.0, I79.1: 기타 질환에서의 동맥 및 세동맥 장애

  • M31.4: 대동맥궁 증후군 (다까야수병)

  • Q20~Q25: 순환계통의 선천기형

  • Q26.0~Q26.9: 대정맥혈관의 선천기형

  • S25~S26: 흉부 혈관 및 심장 손상

이 외에도 심장이식술, 복잡 선천성 심기형 등은 최대 60일간 특례 적용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경우는 최대 30일 이내에 수술 또는 약제 투여가 있어야 합니다.


적용 조건 요약

  • 상기 상병코드 중 하나 이상 해당

  • 해당 질환에 대해 특정 수술 또는 약제 투여 이력이 있어야 함

  • 진단일 기준 30일 이내에 수술 또는 약제 처방이 있어야 특례 등록 가능

  • 복잡 선천성 심기형 또는 심장이식술은 60일 이내까지 인정


유의사항

  • 단순 진단만으로는 산정특례가 적용되지 않으며, 수술 코드 또는 약제 코드가 함께 있어야 합니다.

  • 병원에서 진단받은 상병코드가 위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 시 의료기관을 통해 특례 등록 신청을 해야 합니다.

  • 특례 등록 후에는 외래 및 입원 진료 시 본인부담금이 5%로 경감됩니다.


심장질환은 조기 진단과 꾸준한 치료가 중요한 만큼, 산정특례 제도를 적극 활용하면 경제적 부담을 줄이면서 안정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본인의 상병코드가 해당되는지 확인하고, 의료진과 상담을 통해 특례 등록 여부를 점검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협심증, 심근경색, 선천성 심장기형 등은 대표적인 적용 대상이므로 놓치지 말고 챙기시길 바랍니다.